
연극 '무인도 탈출기', 각자의 해법
권ⓒ
·2023. 3. 23. 14:46
‘무인도 탈출기’는 펭수 본체인 배우가 출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연극입니다. 뮤지컬로 공연된 바도 있으나, 2023년에는 3월 26일까지 대학로에서 연극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공연장에 가보면, 마지막 커튼콜 때만 사진 촬영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배경화면이 펭수인 것을 보고 펭수의 팬인 분들이 공연 관람을 실제로 많이 하신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펭수 배우분이 공연에 출연하신다는 특별한 점 외에도 한국 사회의 청년들의 단면을 씁쓸하지만 코믹하게 보여준다는 면이 있어 대학로에서 한 번쯤 살펴볼 연극이라 여겨집니다. 청년들을 위로하고 응원하는 펭수의 이미지가 이 연극에서도 이어지는 것처럼 여겨져 연극의 내용은 더욱 따뜻하고 또 공감대를 불러일으키며 다가옵니다. 반면, 인터넷 용어나 밈들이 종종 극 중 내용으로 활용될 때가 있어, 연령대가 높거나 인터넷 커뮤니티, 유튜브 등을 즐겨 사용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공연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거나 공감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무인도 탈출기’ 연극과 한국 사회에서의 펭수의 의미에 대해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줄거리
어두컴컴한 반지하로 보이는 방에서 동현과 봉수가 살고 있습니다. 등장인물로는 취업 준비생인 봉수와 백수 겸 작가 지망생인 동현, 그리고 이들과 같은 건물에 편의점에서 알바를 하는 수아가 있습니다. 봉수는 반복되는 취업 실패로 힘들어하는 한편, 방에서 망상을 일삼으며 취업을 위한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는 동현을 한심하게 여깁니다. 갈등이 점점 고조되는 가운데, 월세, 학자금 대출, 한 끼 식사를 위한 돈도 떨어지는 위기 상황마저 발생합니다. 이때, 동현과 수아가 함께 상상하며 끄적거린 이야기를 수아가 지역 공모전에 제출하게 되는데, 그 글이 무려 1차 심사를 통과하게 되면서 공모전 상금이 500만원이라는 사실이 알려집니다. 이에, 동현은 반지하 방에서 ‘무인도 탈출기’라는 연극을 즉흥으로 만들기 시작하며, 봉수와 수아를 등장인물로 내세우고 협조를 구합니다. 봉수와 수아는 이 연극 속에서 자신이 진정으로 혼자 남게 되었을 때, 스스로가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이었는지 탐구하게 됩니다. 그들의 상상 속 무인도에서 스스로를 다시 한번 돌아보는 과정에서, 이들은 과연 어떤 선택들을 하게 될까요? 그리고 결국은 각각의 삶의 의미를 찾고 일상으로 돌아오게 될까요? 우당탕탕 청춘들의 상상 속 여행에서 그들의 어려움과 씁쓸함, 또 유쾌함이 관람객들에게 물밀듯이 밀려들어옵니다.
펭수, 그 따뜻한 위로
현대 사회 속 한국의 청년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다양합니다. 그중에서도 생계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취업의 어려움은 큰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지며, 여러 청년들을 살펴보면 자신이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른 채 휩쓸려나가고 있는 모습들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개인주의는 만연하지만, 막상 그 개인들의 개성적인 꿈은 찾기 어려운 현실인 거죠. 이로 인해 청년들은 불안과 불확실성에 시달리며, 근로 의욕 또한 저하된 상황입니다. 이러한 때에, 펭수는 많은 청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선, 펭수는 일상에서 소소한 즐거움을 추구하며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펭수의 유머와 밝은 에너지는 많은 청년들에게 위로와 격려가 되고 있습니다. 펭수는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강조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자세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펭수의 자세는 청년들이 꿈을 향해 도전하는 용기를 주고 있습니다.
또한, 펭수는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과 색깔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며, 자신의 개성을 사랑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펭수는 누구나 특별하고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상기시켜줍니다.
마지막으로, 펭수는 현재 세대의 문제점과 갈등을 바탕으로 직접적인 제언을 내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청년들이 직면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펭수의 목소리는 청년들이 전 세대와의 갈등을 극복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용기를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펭수의 긍정적인 면들이 연극 안에서도 나타났다고 여겨집니다. 무엇이 꿈인지 알 수 없었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나하나 찾아나가던 수아의 모습처럼, 꿈을 쫓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얻으려 하나하나 노력하려던 동현처럼, 자신의 어릴 적 꿈을 마음의 안식처로 삼는 봉수처럼, 다양한 청년들의 모습은 무인도 탈출기 속에서 저마다의 해법을 찾게 됩니다.
'영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로 김광진 콘서트, Till we meet again (0) | 2023.03.25 |
---|---|
티빙 영화 폴:600미터, 시간이 사라지는 아찔함 (0) | 2023.03.24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새로운 가능성 (0) | 2023.03.22 |
스위트 홈,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리뷰 (0) | 2023.03.21 |
넷플릭스 뮤지컬 영화, 로얄드 달의 뮤지컬 마틸다 (0) | 2023.03.20 |